네이버는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네이버 블로그, 카페를 우선적으로 노출시키기때문에 티스토리 블로그는 노출이 잘 되지않는 편입니다. 그래도 웹사이트 탭에서 간간히 티스토리 블로그를 볼 수 있기도 한데요.

 

네이버에 조금 더 노출되기 위해 사이트맵을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제출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고자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트맵을 만들지 못했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티스토리 블로그 사이트맵 만드는 방법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는 본인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의 검색수집, 색인반영 현황을 제공하고 검색에 친화적인 사이트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진단 리포트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전 네이버 웹마스터도구가 '서치 어드바이스'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서치 어드바이스 홈페이지로 들어가겠습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스 바로가기

 

참, 사이트맵 제출을 위해선 네이버 회원가입이 필수입니다. 회원가입이 되지않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진행해주셔야 다음 절차가 원활히 진행 가능합니다.

 

로그인 후 웹마스터 도구로 들어가주세요.

 

사이트 추가를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뜰겁니다.

사이트는 최대 100개까지 추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블로그 주소를 입력 후 엔터를 눌러주세요.

 

그럼 사이트의 소유 확인 절차를 거칩니다.

HTML 태그를 눌러주세요. 태그를 head 섹션에 붙여넣어야하는데 애드센스 신청 시 넣었던 방식처럼 메타 태그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메타태그를 넣어주기 위해 티스토리 내 스킨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오른쪽 스킨 편집에서 html 편집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메타 태그를 <head>와 </head> 사이에 복붙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스로 되돌아가서 소유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사이트 제출이 완료되었다고 뜰겁니다. 이제 거의 완료되었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만들어 두었던 사이트맵을 제출해보겠습니다.

 

웹마스터 도구 내 사이트맵 제출 매뉴를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블로그 주소 이하의 사이트맵을 복사해서 붙여넣기하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사이트맵 제출은 끝납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네이버는 자사 서비스를 우선하여 노출시키기때문에 사이트맵을 제출하더라도 티스토리 블로그를 노출시키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이트맵을 제출해두는 것이 안하는거보다는 나을 것이라 생각하는 바입니다.

대부분의 티스토리 블로그 사용자들은 다른 검색엔진에 노출되길 희망하실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검색엔진에 블로그 사이트를 노출등록 시켜줘야하는데요.

 

그 노출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사이트맵을 먼저 만들어야합니다.

 

사이트맵을 만들어주는 사이트 여러 곳 중 아래 사이트를 소개해 드릴까합니다.

 

사이트맵 만들기

 

사이트맵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등록하고자하는 티스토리 사이트 주소를 입력 후 Start를 눌러주면 끝납니다.

 

 

 

 

생성이 완료가 되는데는 몇분간 시간 소요가 있으니 잠시 기다려주셔야 합니다.

 

 

사이트맵이 만들어지는데 몇 분간 시간 소요가 생김

 

 

다 되었다면 아래 화면과 같이 나옵니다. 'VIEW SITEMAP DETAILS'를 눌러주세요.

 

 

 

 

사이트맵을 다운로드 받거나 메일로 보낼 수 있는데, 메일로 전송해 두는게 편합니다.

바로 다운 받길 원하시면 스크롤 내려서 DOWNLOAD ALL SITEMAP IN A ZIP FILE 을 눌러 다운로드 해주시면 되고,

메일로 받기를 원하시면 스크롤 내려서 메일 주소 입력 후 SEND SITEMAPS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sitemap.xml 파일을 다운받아주세요.

 

 

메일 발송 화면

 

 

이렇게 만들어진 사이트맵은 등록하고자하는 포털 사이트에 바로 등록 하는 것이 아닌 특정한 곳에 업로드 후 그 해당 링크를 사용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통해 링크를 만드려면 신에디터로는 정상적인 링크 제출이 불가능하므로, 예전 에디터로 바꿔주어야합니다. 예전 에디터로 바꾸기 위해서 티스토리 블로그관리 - (콘텐츠) 설정 - 새로운 글쓰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로 바꿔준 후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다시 글쓰기를 누르면 예전 에디터로 글을 쓰실 수 있습니다. "파일"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팝업이 뜨면서 파일을 첨부하실 수 있습니다. "파일선택" 을 눌러서 사이트맵을 첨부해주시고, 글을 비공개로 발행해주세요.

 

 

 

 

그리고 작성되어 첨부된 파일에 오른쪽 클릭 - 링크 주소 복사를 눌러주시면 준비는 끝납니다.

https://itarin.tistory.com/attachment/cfile29.~~ 이런 형식으로 뜨면 정상적으로 복사가 된 겁니다.

 

 

 

 

 

이 사이트맵 글을 작성 하신 후 블로그 관리에서 새로운 글쓰기를 "사용합니다"로 다시 설정 원복해주세요.

 


 

이제 검색엔진에 등록할 사이트맵 생성 및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포털 사이트에 내 블로그를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글에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지금은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기능이 생겨서 원래 애드센스 자동광고 코드를 티스토리에 넣어주면 애드센스에서 적절한 위치에 광고를 넣어주는데요.

그렇게 자동광고 설정해도 티스토리에 광고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 방법을 이용해주시면 됩니다.

 

 

 

 


애드센스 광고 코드 가져오기

 

먼저 애드센스 광고 코드가 티스토리 블로그 html에 들어가있어야합니다.

 

애드센스 사이트로 갑니다. https://www.google.com/intl/ko_kr/adsense/start/

 

로그인 후 왼쪽 메뉴 [광고 - 개요]에 들어가서 코드 가져오기를 클릭해줍니다.

 

 

 

코드 가져오기에서 나온 코드에 복사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 가셔서 [블로그관리 - 꾸미기 - 스킨편집 - html 편집]에 들어갑니다.

 

 

들어가서 <head>와 </head> 사이에 해당 코드를 복붙해주세요.

 

 

복붙 후 적용하기 버튼을 누르고 나옵니다.

 

 

상하단광고 만들기

 

이제 광고단위를 만들겁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 [광고 - 개요 - 광고단위기준]으로 들어갑니다.

 

 

디스플레이 광고로 들어갑니다.

 

 

 

상단 광고부터 먼저 만들건데요. 광고 크기는 반응형으로 된 상태에서 이름을 정하고 '만들기'를 누릅니다.

 

 

이제 만들어지면서 광고 코드가 생성되는데요. 코드 복사를 눌러줍니다.

 

 

티스토리로 돌아가서 [블로그 관리 - 플러그인]으로 들어갑니다.

 

 

많은 플러그인 중 '구글 애드센스(반응형)'을 눌러주세요

 

 

반응형에서 상하단 광고 클릭 후 상단 광고 코드에 코드를 복붙해주시면 됩니다.

 

 

하단광고 코드도 상단광고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드를 생성한 뒤 플러그인에서 하단광고 위치에 코드를 복붙해주세요.

 

사이드 광고 만들기

 

먼저 애드센스에서 상단, 하단광고 코드 만들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사이드 광고 코드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블로그 관리 - 플러그인] 에서 '배너출력' 플러그를 적용시켜줍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의 [꾸미기 - 사이드바] 를 눌러줍니다.

[플러그인]HTML배너출력을 +버튼을 눌러 추가 후 편집을 눌러줍니다.

편집은 HTML배너출력에 커서를 대시면 버튼이 나옵니다.

 

 

이름은 설정한 광고 이름으로 넣어주시고 구글 애드센스에서 복사해두었던 사이드광고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사용자 모듈에 저장'을 체크해주셔야 추후 계속 사용이 가능합니다.

입력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HTML 적용된 것을 확인 후 '변경사항저장'을 눌러줍니다.

 

 

이렇게 하시면 모든 광고 적용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는 광고가 정상적으로 게재되는게 수분 정도 걸릴거라고 하는데요.

보통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고 잘 적용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광고가 적용되지않는 경우 이렇게 수동으로 적용하여

블로그 컨셉에 맞게 광고 삽입이 가능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티스토리 블로그에 구글 애드센스 자동 광고 설정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동광고는 미리 설정만 해두면 구글 시스템이 알아서 적절한 위치에 광고를 게재해주는 기능입니다.

 

자동광고 설정 전 애드센스 승인을 받는 것이 선행되어야합니다.

 

 


애드센스 자동광고 설정법

 

- 코드 가져오기

 

1. 애드센스 사이트 접속

2. 광고 - 개요 - 코드 가져오기에 들어갑니다.

코드 복사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티스토리 블로그에 html 코드를  붙여넣기 해줍니다.

 

3. 티스토리의 [블로그관리 - 스킨편집 - html 편집] 클릭

4. <head>와 </head> 사이에 해당 코드를 붙여넣기 합니다.

 

- 애드센스 자동 광고 설정

 

 

1. 애드센스 페이지에서 오른쪽 밑 연필모양 클릭

2. 오른쪽 옆 사이트 설정 아래 "자동광고" 를 활성화 합니다.

광고 형식에는 여러가지 광고 효과가 있는데 보통 저는 전면 광고 제외한 나머지 광고를 활성화 시켰습니다.

원하는 광고 형식을 활성화 시켜주시면 됩니다.

광고로드는 페이지에 게재되는 광고 수를 설정합니다. 기본값은 중간으로 되어있는데 저는 최대로 늘려놓았습니다.

초보라 최대로 했을 시 과도한 광고가 노출될 경우 조금씩 낮춰볼 생각입니다.

 

원하는 설정 후 사이트에 적용 눌러주시면 수분 내 블로그에 반영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즘 유튜브와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시작하게 된게 티스토리 블로그라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네이버와 다르게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애드고시'라고도 불리는 애드센스는 구글에 승인이 되어야만 광고를 게재할 수 있고 승인을 받기 위해서는 블로그에 미리 꾸준히 글을 올릴 필요가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보편적인 애드센스 합격 기준은

 

1. 1일 1 포스팅

2. 글 한 개당 1,000자 이상

3. 다양한 주제보다는 1가지 주제를 전문적으로

4. 사진보다는 글자 수를 더 신경써서 작성

 

이렇게 4가지 정도이나, 3번정도만 지켜주면 나머지는 조건에 조금 부합되지않더라도 애드센스를 승인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2~3일에 1포스팅, 1,000자에서 약간 미달되어도 승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한번에 승인받으려면 위 조건을 충족 후 애드센스 신청해주는게 좋습니다.

 

어느정도 글을 게재했다고 하면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에 회원가입 후 애드센스를 신청 할 수 있는데, 보통 15개 정도 작성 후 신청하는게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신청방법


구글 애드센스: https://www.google.co.kr/intl/ko/adsense/start/?utm_medium=cpc&utm_source=google&utm_campaign=1001272-adsense-acquisition-kr-ko-hybrid-rmkt&utm_term=%2B%EC%95%A0%EB%93%9C%EC%84%BC%EC%8A%A4&utm_content=229666940336&gclid=Cj0KCQjwmdzzBRC7ARIsANdqRRnR-IfzdLccV5da4PE0VDKxgdIOsQhMb-4KLraTk4nlsPct1sZIIdwaApRjEALw_wcB

 

시작하기를 눌러줍니다.

 

적혀있는대로 회원가입을 진행해줍니다.

 

회원 가입 후 사이트 연결을 위해서는 아래 애드센스 코드를 연결해줘야한다고 뜨는데요,

애드센스 코드는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서 연결 해 줄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 html 편집

<head>와 </head> 사이에 해당 코드를 붙여넣기 해줍니다. 꼭 적용 버튼 잊지말고 눌러주세요!

이렇게 코드 붙여넣기 후 구글에서 확인을 누르면 사이트 검토중이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보통 몇일 내로 승인난다고 적혀있지만 2주는 걸린다고 생각해야할 거 같습니다. 애드센스 검토 결과는 애드센스 회원가입할 때 쓴 메일로 통보가 됩니다.

 

위 방법으로 애드센스 신청하시고 다들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